본문 바로가기
투자/주식

'봉'이란?

by GOSUGO 2020. 10. 12.
반응형

봉이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의 기본 차트 그리고 차트의 기본 중에 기본인 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제가 이해했던 방식으로 즉, 주린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명을 진행할 거라... 많이 부족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차트를 보시면 얉은 줄을 위 아래로 갖고 있는 두꺼운 막대가 보이실텐데요. 이것을 '봉'이라고 합니다.


봉


두꺼운 부분을 몸통, 얇은 부분을 꼬리라고합니다. 몸통은 시작점과 끝점을 내포하고 있고 꼬리는 특정 기간동안 실제로 움직였던 범위를 보여줍니다. 더 쉽게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은 경우, 특정 기간동안 시작과 끝보다 더 위로도 갔었고 아래로도 갔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사람들이 말하는 주봉 일봉 등은 무엇일까요?


정말 간단합니다. 그냥, 봉이 나타내는 특정 기간을 얼마로 두느냐에 이름이 달립니다. 하루를 보여준다면 일봉입니다. 그럼 역시, 달로 보여주면 월봉, 일주를 보여주면 주봉이 되겠습니다. 분봉도 마찬가지로 3분을 보여주면 3분봉이라하고 1분을 보여주면 1분봉입니다. 하지만 보통 그냥 분봉이라고 부릅니다.


그럼 그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양봉은 무엇이고 음봉은 무엇일까요?


설명에 사용되는 봉은 설명이 편해지도록 일봉으로 하겠습니다.

즉, 봉이 하루동안 일어난 일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양봉


양은 +를 나타내는 말이니까 주가가 시작대비 마감이 상승한 봉을 말합니다. 위에서 몸통이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했었습니다, 올랐다는 것은 시작보다 끝이 위에 있다는 뜻입니다.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주식시장이 시작하는 오전 9시에 몸통 아래부분에서 시작해서 오후 3시30분 주식시장마감(장마감)에 몸통 윗부분에서 끝났다는 겁니다. 꼬리는 특정 기간(하루)동안 움직인 범위를 보여줍니다. 즉, 시작과 끝은 저기지만, 오늘 하루 동안 꼬리가 포함하는 부분까지 움직였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음봉


음은 -를 나타내는 말이니까 주가가 시작대비 마감이 하락한 봉을 말합니다. 마찬가지로 몸통이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고 했으니, 하락했다는 것은 시작이 끝보다 위에 있다는 뜻입니다.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주식시장이 시작하는 오전 9시에 몸통 윗부분에서 시작했는데 오후 3시 30분 장마감에 몸통 아래부분에서 끝났다는 겁니다. 마찬가지로 시작과 끝은 저랬지만, 그 과정에서 꼬리가 차지하는 부분까지 움직였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다면 위에 설명드린 부분에서 단어들을 살~짝 주식용어 맞게 정리하겠습니다.

시작점을 '시초가' 또는 '시가'라고 말합니다.

종료점을 '종가'라고 말합니다.

최저점을 '저가'라고 말합니다.

최고점을 '고가'라고 말합니다.

주식시장이 끝나는 것을 '장마감'이라고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봉을 주식을 오래하신분들은 '캔들'이라고 부릅니다.


마지막으로 CHECK TIME을 갖겠습니다.

일봉을 보고 하루동안 최고 가격을 무엇을 보고 맞출 수 있을까요?

오늘은 음봉이라면 주식 가격이 전날에 비해 무조건 떨어진건가요?

.

.

.

.

.

.

.

.

.

.

.

.

.

.

.

.

.

.

.

.

고가를 보면 알 수 있다.

아니다. 음봉은 시가와 종가의 사이를 보여주는 지표다.


부족하지만 재미있게 봐주셨으면 좋겠고 저와 같은 주린이들에게는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SI'가 무엇일까?  (0) 2020.11.12
'이동평균선'의 기본활용  (0) 2020.10.20
'이동평균선'을 이해해보자  (4) 2020.10.19
거래량이 뭔데?  (4) 2020.10.13
투자 해야 되는 거야?  (3) 2020.10.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