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정보/자격증

'전기공사기사'란?

by GOSUGO 2020. 11. 10.
반응형

전기공사기사



'전기공사기사'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전기공사기사 자격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고 합니다. 전기는 생산, 수송, 사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설비를 전기특성에 적합하게 시공되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전력시설물을 안전하게 시공하고 검사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할 목적으로 '전기공사기사'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고 합니다.


응시자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나만 만족하면 됩니다.)


1. 관련학과 대졸(졸업예정자)

2. 관련학과 3년제 전문대졸 + 1년

3. 관련학과 2년제 전문대졸 + 2년

4. 동일(유사)분야 산업기사 + 1년

5. 동일(유사) 분야기능사 + 3년

6. 동일(유사) 분야 4년 순수 경력

7. 동일(유사) 분야 기사

8. 동일종목외 외국자격취득자

9.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10.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 2년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이루어집니다.

시험과목, 검정방법 및 시험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합격기준 아래와 같습니다.


필기 : 5과목 평균이 60점 이상이어야 하고 한과목이라도 40점 미만이 나오면 안됩니다.

실기 : 100점 만점에 60점이상이어야 합니다.


필기시험을 합격하게 되면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이 면제됩니다. 또한, '전기기사'를 합격하면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에서 4과목이 면제됩니다. '쌍기사'를 목표로 하신다면 '전기기사'를 따고 '전기공사기사'도 바로 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합격률은 필기와 실기 모두 약 30% 정도 됩니다.


주요 업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공사현장 대리인으로서 시공자를 대리하여 전기계기, 장비, 시설, 부품, 제품 및 상업, 산업 및 가정용 전기시스템, 철도신호 전기설비 등의 전기공사를 현장감독하는 자격이며, 동시에 발주자에 대해서는 시공자를 대신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전기공사비의 적산, 공사공정계획의 수립, 시공과정에서 전기의 적정여부 관리 등 주로 기술적인 업무를 수행합니다.


3. 전기관련 연구와 프로젝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한편, 설치와 작동이 고객이 제시한 조건과 기준에 맞도록 기술도면, 전기시스템 설계도 및 세부자도 등을 작성하기도 한다.


'전기공사기사'는 아래와 같이 활용이 가능합니다.


1. 창업

▶ 전기공사사업체를 자영할 수 있습니다.


2. 취업

▶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 전기설비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안전관리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습니다.

▶ 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3.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 받을 수 있습니다.


4.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 공무원 채용시험시 가산점을 줍니다.

▶ 경찰공무원 채용 시험에서 전기공사기사 등은 가산점을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 한전 등 공기업에서도 가산점을 받습니다. 한전 전기직의 경우 '전기기사'와 마찬가지로 최대 가산점인 10%를 받습니다. 한전은 '전기기사'랑 '전기공사기사'가 둘 다 있으면 가산점 20%입니다.


5. 자격 부여

▶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안전관리자 선임 및 전기설비 검사자 자격이 주어집니다.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공사기술자로 인정받을 수 있고, 전기공사업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습니다.

▶ 전력기술관리법에 의한 전력설계업 및 감리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 항로표지법에 의한 항로표지 장비 및 용품 성능 검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등으로 전기공사기사 자격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관계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기공학도라면 쌍기사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보통 건설업이나 플랜트 쪽으로 진로를 정하지 않는 이상 '전기공사기사'는 잘 안따는 거 같습니다. 제 주변만 그런 것 같지는 않은게 지원자 수도 '전기기사'보다 한참 미치지 못 합니다. 그래도 '전기기사'와 '전기공사기사'로 나뉘었다는 것은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올해 2차 실기에서 '전기기사'를 합격했기 때문에 필기 과목이 면제 될 때, '전기공사기사'까지 딸 계획입니다. '전기기사'를 합격하셨다면, 필기 과목 4과목이 면제 될 때 '전기공사기사'를 따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또한 건설 분야로 진로를 계획하고 계시다면 '전기기사'보다는 '전기공사기사'를 먼저 취득하시는 것이 낫지 않을까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읽고 '전기공사기사'를 취득하시기로 생각하셨다면! 지금 바로 아래의 링크로 들어가서 일정을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http://www.q-net.or.kr/



반응형

'잡다한 정보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자격증 컴퓨터활용능력  (2) 2020.11.27
'정보보안기사'란?  (4) 2020.11.08
국어능력인증시험이란?  (12) 2020.10.26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란?  (2) 2020.10.17
'전기기사'란?  (2) 2020.10.05

댓글